
2017 무등현대미술관 기획초대전
Upcycling
魯殷希 展
The Solo EXHIBITION by NOH, EUN-HEE
2017. 2. 23. – 4. 20.
무등현대미술관
나무들에게
많은 시간동안 작업을 하면서 주제를 정해놓고 하지는 않았지만 어느새 내 손길을 거쳐 나타나는 것은 ‘나무’였다.
한지를 구하러 장성댐 밑의 덕성한지를 찾았던 1980년대 한지의 주재료인 닥 덩어리에서 닥나무 껍질을 펼쳐보다 그 섬세한 결의 흐름에 정신을 팔려 손이 부르트는지도 모르고 밤새 닥껍질을 펼쳤었다. 닥나무의 속껍질을 이용한 작업에서 그 껍질과 분리되어 하얀 속살을 드러내던 나뭇가지를 버리지 못해 작업에 끌어들었고, 버려진 비닐우산의 대나무 살을 주워들었다. 아무튼 나 스스로 버려지는 것들에 대해 안타까워하며 어떻게 다시 써 볼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에 늘 모아오던 것이 버릇처럼 되어버려 어떨 때는 내가 버려지는 것들 속에서 살고 있는 것 같다.
5년 만에 하는 개인전이긴 하지만 이번 역시 버려지는 것들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한다는 새로운 사조인 업사이클링(upcycling)작업이 되어버렸다.
그들 중 하나로 날마다 우리 주변 가로수 길에 걸려있다 시간이 지나면 그 효용가치가 다 하면 감아졌다 버려지는 현수막을 모아 에코백을 만들었더니 너무나 튼튼하여 그 가치를 실감하던 차 이제는 작품으로 탈바꿈 하였다. 현수막을 수거하여 깨끗하게 빨고, 자르고, 바느질하여 띠를 만들고 그 띠들을 다시 연결하여 구성하는 사이 특유의 텍스츄어가 나타나더니다시 ‘나무’가 되어버렸다.
평면에서 부조적인 나무가 되더니 이제는 실제 나무처럼 3차원으로 때로는 꼬마나무로 책상 위에 올려지기도, 허전한 구석에 나타나기도 한다.
어느 산, 어느 산책로 어딘가에서 보아왔던 나무이기도하고 44년 드나들며 보아왔던 교정의 다양한 나무들이 다시 내 속에서 새로운 모습으로 재탄생하는 것 같다.
새삼 나무들이 우리에게 주는 그 많은 혜택을 생각나게 해준다. 새싹으로 살며시 고개를 내밀더니 키 작은 나무가 물과 자연의 다른 유기물들과 함께 때로는 날씨의 변덕으로 햇빛과 바람들의 지나침에도 불구하고 꿋꿋하게 자라 우리들의 삶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산소를 주고, 시원한 그늘을 드리워주고, 장난감도 가구도 만들어주고, 우리의 휴식처인 집도 지어 주고, 심지어 잘려나간 그루터기도 우리의 지친 발걸음을 쉬게 하는 의자가 되어주기도 한다.
이제는 내가 나무들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생각해 보면서 한 그루라도 더 많은 나무를 심어 내가 살고 있는 작은 공간이라도 싱그럽게 해보려한다. 내가 작업하고 있는 이 순간의 즐거움이 늘 나무와 함께 영원하기를 기원하면서 순간의 연속이 내 삶을 이어가듯 늘 순간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오늘도 산책 길 나무들에게 인사를 보낸다.
모두에게 평화를 빕니다.
2017년 2월 대보름 날 달을 보며 운림골에서 드립니다.
To the trees
I worked for a long time without setting a theme, but before I knew it, what appeared through my hands was ‘tree’.
In the 1980s, when I was looking for Deokseong Hanji under Jangseong Dam to get Hanji, I was so absorbed in the delicate flow of the grain that I unrolled the bark of the mulberry tree from a lump of mulberry, the main material for Hanji, and my hands were probably swollen, so I unrolled the bark all night long. I couldn’t throw away the branches that had separated from the bark and revealed white flesh while working with the inner bark of the mulberry tree, so I brought them into the work, and I picked up the bamboo slats from discarded plastic umbrellas. Anyway, I always felt sorry for the things that were being thrown away, and I thought about how I could use them again, so it became a habit, and sometimes I feel like I’m living among the things that are being thrown away.
Although this is my first solo exhibition in five years, this time, too, it has become a work of upcycling, a new trend that gives new value to things that are being thrown away. One of them is the banners that hang on the street trees around us every day. After time passes, their usefulness is exhausted and they are rolled up and thrown away. I made an eco-bag by collecting them. They were so strong that I realized their value, and now they have been transformed into works of art. I collected the banners, washed them cleanly, cut them, sewed them, made strips, and reconnected the strips to make them. A unique texture appeared and they became ‘trees’ again.
They were relief trees on a flat surface, and now they are three-dimensional like real trees. Sometimes they are placed on desks as small trees, or they appear in empty corners.
They are trees that I have seen on some mountain or some walking path, and the various trees in the schoolyard that I have seen over the past 44 years seem to be reborn in me with a new look.
They remind me of the many benefits that trees give us. A small tree that quietly poked its head out as a sprout, sometimes with water and other organic matter of nature, grows strong despite the excessive sunlight and wind due to the weather’s whims, giving us the oxygen that is absolutely necessary for our lives, providing cool shade, making toys and furniture, building houses for us to rest in, and even cutting down stumps to become chairs for our tired steps.
Now, I think about what I can do for the trees and try to plant even one more tree to make the small space I live in fresh. I hope that the joy of this moment I am working on will always be eternal with the trees, and as the continuation of moments continues my life, I always give meaning to the moments and send greetings to the trees on my walk today.
I wish you all peace.
This is from Unrimgol while looking at the moon on the first full moon of February 2017.

나무 옷 2017-01
(Tree clothes 2017-01)

나무 옷 2016-10, 11, 12, 13
(Tree clothes 2016-10, 11, 12, 13)

나무 옷 2017-02, 03
(Tree clothes 2017-02, 03)

나무 위의 닭
(Hen on the tree)

나무가 되었습니다 2012
(It became a tree 2012)

나무가 되었습니다 2017-1
(It became a tree 2017-1)

나무가 되었습니다 2017-2
(It became a tree 2017-2)

나무가 되었습니다 2017-3
(It became a tree 2017-3)

원이 된 대나무 2017-03
(Circular bamboo 2017-03)

초록 대나무
(Green bamboo)

나무 옷 2016-14, 15, 16
(Tree clothes 2016-14, 15, 16)

답글 남기기